티스토리 뷰
Inequality - Cauchy, Hölder Minkowski, Young
MathTrauma 2022. 11. 30. 14:02대소 비교는 해석학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다수의 부등식을 익혀야 하는데 생각나는대로 정리해 두자.
많은 중요 부등식은 서로 동치이고 증명의 방법도 많다. 여기에 소개하는 증명은 취향에 의해 선택된 경우가 많다.
처음 등장하는 부등식은 코시 부등식이다.
코시 부등식
코시 부등식은 가장 많은 증명이 제시된 부등식이기도 한데 일단 라그랑제 항등식을 이용하는 것부터 살펴보자.
증명은 글로 쓰려니 괴로워서 동영상으로 대체한다.
. . . . . . . . . . . . . . . . . .
얀센 부등식 ( Jensen's Inequality )
볼록성(convexity)의 정의부터 소개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볼록이라고 하면 '아래로' 볼록을 뜻한다.
볼록성을 확장하면 얀센 부등식을 얻게 된다.
증명은 귀납법을 이용한다.
. . . . . . . . . . . . . . . . . .
멱평균 부등식
범위 $-\infty \lt s \lt t \lt \infty $를 살펴보면 두 실수 $s\lt t$는 양의 실수일 필요는 없지만, 증명은 $0 \lt s \lt t $ 인 경우만 하겠다.
. . . . . . . . . . . . . . . . . .
영(Young)의 부등식
$p \gt 1$ 과 $q \gt 1$ 이 $\frac1{p}+\frac1{q}=1$ 을 만족시킬 때, 음이 아닌 두 실수 $A,B$에 대해서 $$ AB \le \frac{A^p}{p} + \frac{B^q}{q} $$ 이 성립한다.
영 부등식을 역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증명해보자.
. . . . . . . . . . . . . . . . . .
정규화(Normalization) - 헬더 부등식과 민코프스키 부등식
학부 해석학과 기하학에서는 주로 '거리'가 정의된 공간을 다루는데 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경우 Norm 을 이용해서 거리를 정의한다.
헬더(Hölder) 부등식과 민코프스키(Minkowski) 부등식은 norm 과 관련된 중요한 부등식이다. 출현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이들 부등식의 증명을 보는 것은 '정규화'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게 해주는 좋은 기회가 된다.
$p \gt 1$ 과 $q \gt 1$ 이 $\frac1{p}+\frac1{q}=1$ 을 만족시킬 때, 음이 아닌 실수열 $ (a_k)_{k=1} $, $(b_k)_{k=1}$에 대해서 부등식 $$ \sum_{k=1}^n a_kb_k \le \left(\sum_{k=1}^n a_k^p \right)^{\frac1{p}} \left(\sum_{k=1}^n b_k^q \right)^{\frac1{q}} $$ 이 성립한다.
헬더 부등식의 우변은 두 항이 곱해져 있음에 유의하자. 다음 민코프스키 부등식은 우변 두 항이 더해져 있다.
$p\ge 1$ 일 때, 실수열 $ (a_k)_{k=1} $, $(b_k)_{k=1}$에 대해서 부등식 $$ \sum_{k=1}^n |a_k+b_k|^p \le \left(\sum_{k=1}^n |a_k|^p \right)^{\frac1{p}} + \left(\sum_{k=1}^n |b_k|^p \right)^{\frac1{p}} $$ 이 성립한다.
$p\lt q$ 이면 $\lVert \mathrm{x} \rVert_{p} \ge \lVert \mathrm{x} \rVert_{q}$ 가 성립한다. 증명은 살짝 기교적이다.
일단 다음 식으로 시작한다. $$\left(x_1^p+x_2^p+\cdots+ x_n^p \right)^{\frac{q}{p}} = \left(x_1^p+x_2^p+\cdots+x_n^p \right)^{\frac{q-p}{p}} \left(x_1^p+x_2^p+\cdots+ x_n^p \right) $$ 식이 복잡해지니 $ A=\left(x_1^p+x_2^p+\cdots+x_n^p \right)^{\frac{q-p}{p}} $ 로 두자.
우변에 분배 법칙을 적용하면 $$ A \cdot x_1^p + A \cdot x_2^p + \cdots + A \cdot x_n^p \;\;\;\cdots \;\;\; (*) $$ 이 된다. 그리고 각 $i\in \left\{ 1,2,\cdots,n\right \}$ 에 대해서 $$ A= \left(x_1^p+x_2^p+\cdots+x_n^p \right)^{\frac{q-p}{p}} \ge \left(x_i^p \right)^{\frac{q-p}{p}} $$ 이 성립함을 이용하자.
(*) 에서 $$ \begin{eqnarray} A \cdot x_1^p + A \cdot x_2^p + \cdots + A \cdot x_n^p & \ge & \left(x_1^p \right)^{\frac{q-p}{p}} \cdot x_1^p + \left(x_2^p \right)^{\frac{q-p}{p}} \cdot x_2^p + \cdots + \left(x_1^p \right)^{\frac{q-p}{p}} \cdot x_n^p \\ & = & x_1^q + x_2^q + \cdots + x_n^q \end{eqnarray} $$
이제 거슬러 가서 최초의 식과 비교하면 $$ \left(x_1^p+x_2^p+\cdots+ x_n^p \right)^{\frac{q}{p}} \ge x_1^q + x_2^q + \cdots + x_n^q $$ 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The number $e$
가 성립함을 증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Dirichlet's Test
Let $\sum_{n=1}^\infty a_n$ be a series whose sequence of partial sum $S_n$ is bounded.
If $\sum_{n=1}^\infty |b_n - b_{n+1}|$ converges and $\lim_{n \rightarrow \infty} b_n = 0$, then $\sum_{n=1}^\infty a_n b_n$ converges.Abel's Test
Let $\sum_{n=1}^\infty a_n$ be a series whose sequence of partial sum $S_n$ converges.
If $\{b_n\}$ is bounded and monotone sequence, then $\sum_{n=1}^\infty a_n b_n$ converges.
$\sum$이 적분의 일종이라는 점을 생각하면서 위의 식을
보면 부분적분이 보인다.
. . . . . . . . . . . . . . . . . .
'Mathematics > Real Analysis - 단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l Number Axioms, Well-Ordering Theorem (1) | 2022.12.21 |
---|---|
Tauber 정리 (0) | 2022.11.29 |
Stirling Number (1) | 2022.10.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shell
- RUBY
- persistent segment tree
- 백준
- Shell Programming
- number theory
- segment tree
- python3
- bash
- Aho-Corasick
- javascript array
- nearest common ancestor
- JavaScript
- dynamic programming
- bash script
- max flow
- 다익스트라
- Dijkstra
- stack
- lazy propagation
- 세그먼트 트리
- script
- fenwick tree
- 정수론
- C++ big number
- math font
- Reference
- map
- Vim
- BOJ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