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명시적인 형변환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알아보는 것도 사용하는 것도 쉽다.

기본적으로 생성자를 이용하여 형변환을 할 수 있고 추가적인 방법들이 있다.

 

1. String 으로

임의의 타입에 대해 .toString 메서드를 쓰거나 String 생성자를 사용하면 스트링으로 변환된다.

 

 

앞서 number를 string 으로 바꿀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첫 줄에서 . (dot)을 소숫점인지 메서드 호출인지 구분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생성자나 toString 으로 형변환은 여기까지...

이번에는 암시적(Implicit)으로 형변환이 일어나는 경우다.

string 과 + 연산자가 만나면 전체가 string 으로 바뀐다.

 

 

2. Number 로

 

생성자를 이용하는 것은 건너 뛰고 바로 암시적 형변환으로 넘어간다.

 

 

+ 이외의 산술 연산자를 이용하면 string 이 number로 바뀜을 볼 수 있다. 

물론, number로 형변환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경우에 그렇다.

 

 

parseInt 나 parseFloat 이용하기

 

 

parseInt 가 string 을 number 로 바꾸는 것을 넘어서 진법 변환을 해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줄을 보면 number 를 다른 진법의 number로 바꾸는 데도 사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parseInt(혹은 parseFloat)은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string이 수로 시작하는 경우에 숫자를 살려낸다.

 

 

3. Boolean

 

그냥 다음을 보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두 개의 느낌표 !! 는  boolean으로 형변환을 야기한다.

 

 

4. Undefined vs Null 

 

Undefined 는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때,

Null 은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값을 비웠음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이로써 엉성하게라도 자바스크립트의 타입들을 살펴봤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