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217
10217번: KCM Travel
각고의 노력 끝에 찬민이는 2014 Google Code Jam World Finals에 진출하게 되었다. 구글에서 온 초대장을 받고 기뻐했던 것도 잠시, 찬찬히 읽어보던 찬민이는 중요한 사실을 알아차렸다. 최근의 대세
www.acmicpc.net
지원 비용의 크기가 크지 않아서 각 node(공항) 를 방문했을 때,
다른 비용으로 도달했으면 다른 node 처럼 생각하고 최단 경로를 찾으면 된다.
'시간'과 '비용' 두 가지 값을 다루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니 변수명을 정리하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이중 배열 Dst의 값은 시간이다. 즉, '시간'='거리' 로 처리한다.
거리(시간)를 기록하는 distance 배열은
Dst[공항][비용] 형태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Dst[4][5000] 는 4번 공항까지 5000의 비용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렇게 정의해도 비용의 최댓값이 10,000 이므로, 최대 100x10000 개의 node가 있는 셈이니 대충 풀린다.
Code
Further
지원 비용의 크기가 커졌을 때,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반응형
'DS\Algo > 최단 경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4497 주난의 난 (1) | 2022.09.26 |
---|---|
BOJ 10473 인간대포 (0) | 2022.09.03 |
BOJ 16681 등산 (0) | 2022.08.08 |
BOJ 1445 일요일 아침의 데이트 (0) | 2022.08.07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dynamic programming
- number theory
- Aho-Corasick
- Dijkstra
- shell
- javascript array
- Reference
- 다익스트라
- 정수론
- BOJ
- script
- stack
- JavaScript
- segment tree
- persistent segment tree
- map
- nearest common ancestor
- C++ big number
- lazy propagation
- bash script
- fenwick tree
- bash
- max flow
- python3
- 세그먼트 트리
- math font
- Vim
- Shell Programming
- 백준
- RUB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